마케팅 현업으로 제품 후기를 부탁하기 위해 여러 유튜버를 섭외하다보면 항상 드는 생각이 "아 나도 유튜브 해야하는데", "브이로그라도 해야하나" 싶은 생각이다. 크리에이터도 하나의 직업으로 각광받는 요즈음, 거창하게 크리에이터가 되는 건 차치하더라도 내 일상을 영상으로 기록해두는 브이로그는 하고 싶었다. 그래서 일단 영상을 기록해야하니 촬영을 위한 브이로그 카메라는 어떤 걸 써야하나 고민하다가 고민 끝에 별다른 카메라 구매 없이 무작정 폰으로 영상들을 촬영해보고 나니, 브이로그 카메라에는 손떨림방지, 일명 손떨방 기능이 제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문 용어로는 OIS 라고 하는데, 브이로그 카메라를 고를 때 제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한번 공부해보려고 한다.
OIS, 손떨방 기능
손떨방, 손떨림방지기능이라고 하면 많이 들어봤을 법한데, 이게 전문 용어는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이라고 한다. 정확히 직역하자면 손떨림(흔들림) 방지(prevent)는 아니고, 손떨림(흔들림) 보정이다. 방지는 어떤 경우에서든 이미지의 떨림이 없어야 하는 거라면, 보정은 이 떨림을 최소화하는 것에 미세한 언어적 차이가 있다. OIS 기능은 렌즈 구동식 흔들림 보정으로 렌즈를 설계할 때 특정 광학군이 보정 역할을 하도록 설계해 이 광학군을 활용하여 흔들림을 보정한다. 렌즈를 물리적으로 움직여서 떨림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런 흔들림을 보정하는 기능에는 OIS 기 외에도 렌즈 구동 방식 외에도 제품 크기가 어느정도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많이 탑재되는 센서 시프트 방식도 있다.
브이로그 카메라
사람마다 손떨림 정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손떨림이 적은 사람에게는 크게 와닿을지 모르지만, OIS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스마트폰은 영상뿐만 아니라 사진을 찍을때도 잘 흔들린다고 한다. 브이로그라고 하면 보통 스튜디오 같은 한 장소에 설치해서 촬영하기보다 운동 같은 격한 움직임이 아니더라도 행동을 하며 움직이는 모습을 촬영하기 때문에 브이로그 카메라를 고를 때는 OIS 기능이 탑재되면 더욱 좋은 영상물을 만들 수 있다.
애플의 아이폰se 2세대의 카메라에 OIS 기능이 탑재되면서 스마트폰 중저가 라인업에서 좋은 스펙으로 각광받았었고, 반면에 삼성 갤럭시 A시리즈는 A7부터 OIS 기능을 제외하여 비판이 있었다고 할 정도로, 브이로그 카메라로 고려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매력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은 브이로그 카메라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우연히 알게된 핸드폰의 손떨방, OIS 기능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OIS 기능을 시작으로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흔들림 보정 방식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는데 아직 이 내용까지는 나조차도 이해가 어려워 천천히 접근해보려고 한다. 아마 내가 유튜브를 핸드폰이 아니라 카메라로 촬영하게 되는 날이 온다면, 그때쯤 또 공부하지 않을까? ㅋㅋㅋ 얼른 그런 날이왔으면 좋겠다.
'현업 잘하기 | IT >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HDMI 케이블에 대하여 (0) | 2023.03.23 |
---|---|
[IT] sRGB, DCI-P3, 캘리브레이션? 색역에 대하여 (0) | 2023.03.22 |
[IT] 색에 대하여, 색상, 색약? (0) | 2023.03.20 |
[모니터] 모니터 패널 종류 IPS패널, TN패널, VA패널 (0) | 2023.03.19 |
[모니터] 사용 용도에 따른 모니터; 가정용 모니터, 게이밍 모니터, 디자이너 모니터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