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업 잘하기 | IT/IT 지식

[모니터] 모니터 패널 종류 IPS패널, TN패널, VA패널

 

모니터라는 제품군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가장 흔하게 보이는데 뭔지 모르겠는 것들 중에 하나가 패널이었다. 패널이라 함은 Panel, 뭔가 영어로는 널판지 느낌이라 대충 액정과 관련된 기능이구나 싶었다. 그런 패널의 종류로 가장 흔하게 봤던 게 IPS패널, 그리고 게이밍 모니터에 많이 쓰인다고 하는 TN패널, 또 VA패널까지. 이 패널의 각각의 차이점을 알아야 그 제품의 특장점을 잘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은 이런 모니터 패널 종류와 IPS패널, TN패널, VA패널 각각의 차이점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모니터 패널 종류

해상도 좋은 사진

IPS패널, TN패널, VA패널은 모두 LCD(Liquid Crysta Display) 기술을 사용하며, 빛을 어떻게 통과시키느냐의 차이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패널의 액정을 구성하는 분자가 빛을 통과시키는 방법에 따라 패널의 종류가 나뉜다. 이 내용은 나중에 LCD, LED, OLED 등에 대해서 얘기할 때 더 자세히 공부할 예정이다.

 

IPS패널

가정에서 TV

IPS패널은 In-Plain Switching의 약자이다. 패널 중에 가장 넓은 광시야각을 제공하며 액정을 터치했을 때 변화가 없어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도 사용된다. 검은색을 표현할 때 백라이트 빛손실이 생겨 명암비는 다른 패널보다 낮은 편이지만, 앞서 말한 광시야각과 평균적인 반응속도, 높은 색재현율로 비싸지만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패널이다.

 

TN패널

게이밍 사진

TN패널은 Twisted Nemaatic의 약자로 세 패널 중에 가장 오래된 패널이다. 다른 패널들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잔상이 적다. 그래서 주로 FPS게임처럼 반응속도가 중요한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TN패널이 좋다. 또 액정을 구동시키는 전압이 IPS패널이나 VA패널보다 낮고 가격이 저렴하다. 이런 TN패널의 단점은 모니터가 제대로 보이는 시야, 다시 말해서 광시야각이 좁다. TN패널은 액정 구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명암이 달라져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TV같이 옆이나 밑에서 보는 디스플레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VA패널

영화관 사진

VA패널은 Vertical Alignment의 약자로 TN패널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나온 삼성이 주로 사용하는 패널이다.  명암비가 높은 게 최대 장점이고, LCD 중에서는  유일하게 HDR을 잘 구현할 수 있다. 그래서 어두운 환경에서 영화나 드라마 시청에 적합하다. 하지만 TN패널만큼 시야각이 좁고 색재현율이 낮고, 반응속도 또한 느리다. 

 

 

 

오늘은 간단하게 IPS패널과  TN패널, VA패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세가지 패널 모두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패널을 고려할 때 모니터 사용 용도에 따라서 선택하면 된다. 다음에는 이번 패널을 공부하면서 계속 언급되었던 분자구조와 관련된 부분으로 LED LCD QLED 등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